책을 내면서 = 1
제1부 생체와 컴퓨터 - 분자 컴퓨터 입문 = 15
제1장 생명공학의 이모저모 = 17
1. 생명의 본체 = 17
2. 단백질 = 25
3. 유전정보의 흐름 = 29
4. 세포주식회사 = 35
5. 유전공학 = 39
6. 세포공학 = 45
7. 연생술의 세기 = 47
제2장 생체막과 정보처리 = 50
1. 생체막의 구조 = 50
2. 생체막의 기능 = 55
3. 신경계와 생체막 = 63
4. 호르몬과 생체막 = 70
제3장 단세포군 항체의 이해 = 77
1. 항원과 항체 = 77
2. 면역계의 기능 = 81
3. 면역계의 활동 = 94
4. 단세포군 항체의 생산 = 98
제4장 분자소자와 생체 컴퓨터 = 103
1. 분자기술의 세계 = 103
2. 생체분자소자 = 107
3. 생체 컴퓨터 = 117
참고문헌 = 125
제2부 두뇌와 컴퓨터 - 신경망 기술 소고 = 127
제1장 뉴론의 비밀 = 129
1. 뇌의 진화 = 129
2. 뉴론의 구조와 기능 = 135
3. 뇌의 신경 정보처리 = 140
제2장 신경망의 기초 = 146
1. 인공지능의 대안 = 146
2. 신경망의 주요 모델 = 148
3. 신경망의 특성 = 159
제3장 신경 컴퓨터의 가능성 = 164
1. 신경망 연구의 이정표 = 164
2. 신경 컴퓨터의 등장 = 170
3. 신경망 기술의 동향 = 177
참고문헌 = 184
제3부 눈과 컴퓨터 - 기계시각 개론 = 187
제1장 시각의 생리학 = 189
1. 감각과 지각 = 189
2. 시각체계의 해부 = 192
3. 시각 연구의 동향 = 201
제2장 시지각의 수수께끼 = 204
1. 초창기의 시각 연구 = 204
2. 시지각의 특성 = 207
3. 시각 정보처리의 기제 = 211
4. 시각의 차원 = 218
제3장 데이비드 마의 계산이론 = 226
1. 계산이론의 전제 = 226
2. 초벌 스케치 = 230
3. 2 1/2차원 스케치 = 234
4. 3차원 모형 표상 = 240
5. 시지각 패러다임의 대전환 = 245
제4장 기계의 눈 = 249
1. 컴퓨터시각의 목표 = 249
2. 컴퓨터 시각의 패러다임 = 251
3. 시스톨릭 어레이 = 259
4. 신경망의 시각 능력 = 264
5. 기계시각 시스템의 응용 = 269
참고문헌 = 274
제4부 생명과 컴퓨터 - 인공생명 서설 = 277
제1장 비선형 세계와 컴퓨터 = 279
1. 혼돈의 발견 = 279
2. 혼돈의 과학 = 283
3. 비선형계의 수학 = 291
4. 솔리톤 = 296
5. 복잡성의 과학 = 299
제2장 자기조직하는 생명 = 305
1. 열역학의 질서이론 = 305
2. 프리고진의 무산구조 = 310
3. 생명과 무산구조 = 318
제3장 자기증식하는 기계 = 322
1. 튜링의 자동자 이론 = 322
2. 폰 노이만의 자동자 = 333
3. 세포자동자와 생명 = 341
제4장 인공생명의 해부 = 348
1. 자동기계의 역사 = 348
2. 동물과 기계의 행동 = 354
3. 인공생명의 개념 = 358
4. 알고리즘과 인공생명의 개념 = 364
5. 생체분자와 인공생명 = 369
6. 인공생명의 의미 = 372
참고문헌 = 375
제5부 마음과 컴퓨터 - 인지과학 연구 = 377
제1장 마음의 과학 = 379
1. 인지과학의 뿌리 = 379
2. 인공지능의 역사 = 392
3. 인지과학의 이해 = 399
제2장 인공지능 논쟁 = 405
1. 튜링의 모방 게임 = 405
2. 컴퓨터가 할 수 없는 것 = 406
3. 중국어방 = 409
4. 해석학과 인공지능 = 414
5. 1990년의 논쟁 = 418
제3장 기계의 정서 = 421
1. 정서의 개념 = 421
2. 정서의 생리학 = 424
3. 인공 정서 = 428
4. 컴퓨터 화가 아론 = 433
제4장 괴델, 호프스태터, 펜로즈 = 437
1. 수학기초론의 이해 = 437
2. 불완전성 정리 = 443
3. 의식과 컴퓨터 = 450
4. 괴델, 에셔, 바하 = 453
5. 펜로즈의 시각 = 464
참고문헌 = 470
이름 찾아보기 = 472
용어 찾아보기 = 47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