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옥계 석회석광산의 상징성 = 9
1)석회석광산 = 11
2)백두대간보호지역 = 13
3)사회적 여론 및 이해관계자 = 18
2. 대규모 광산의 복원 방법 = 21
1)생태복원의 개념 = 23
2)SER의 생태복원 실행을 위한 국제 표준 = 26
3)개정된 산림복원 관련 법률 = 32
4)석회석 광산의 복원 기준 = 34
3. 주변 환경에 대한 영향 = 47
1)기본 개념 = 49
2)사후환경영향 조사 = 50
3)경관영향 저감 = 57
4. 안정을 고려한 복원 = 65
1)안정을 고려한 계획 수립 = 67
2)지형복구 = 68
3)수계복구 = 69
4)잔벽면 및 성토지 조성 = 76
5. 바람직한 생태복원의 과정 = 79
1)생태복원 계획 = 81
2)이전의 복구 방식 = 94
3)시험시공 = 98
4)모니터링 및 평가 = 103
5)세부 방법별 고찰 = 114
6)생태복원 종합 = 147
6. 동식물과의 공존 = 149
1)동식물과 공존하는 계획 수립 = 151
2)붉은점모시나비 서식지 복원 = 157
3)원앙, 소쩍새, 하늘다람쥐 서식지 복원 = 160
4)야생식물 보전 = 161
7.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참여 = 165
1)전문가의 참여 = 167
2)합동협의회 = 169
3)광산모니터링위원회 = 173
4)산림복구협의회 = 178
8. 지역과의 상생 = 183
1)지역주민과의 공생 = 185
2)환경경영 = 185
3)생태복원에 참여 = 189
9. 미래세대에 남겨줄 과제 = 193
10. 참고자료 = 201
1)옥계 석회석광산 관련 자료 = 203
2)참고 자료 = 205
부록 = 209
1)옥계 석회석광산 복원설계 가이드라인 = 2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