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판 머리말 = 3
1판 머리말 = 7
chapter 01 교육과 교육과정 = 21
1. 교육과정의 위치 = 22
1) 교육의 의미 = 22
2) 교육과 교육기관 = 22
3) 교육기관과 교육과정 = 24
2. 교육과정의 개념 = 26
1) 실제적 입장 = 27
2) 최근의 입장 = 29
3. 교육과정의 유형 = 32
1) 공식적 교육과정 = 32
2) 영 교육과정 = 32
3) 실제적 교육과정 = 35
4) 잠재적 교육과정 = 37
4. 교육과정 활동 = 41
1) 교육과정 개발 = 41
2) 교육과정 운영 = 41
3) 교육과정 평가 = 42
4) 교육과정 활동과 수업계획 = 43
chapter 02 교육과정 활동의 기초 = 49
1. 교육과정 활동을 하는 집단 = 50
2. 교육과정 활동의 원천 = 56
1) 교육철학 = 57
2) 교육심리학 = 63
3. 교육과정 활동의 사회적 배경 = 68
1) 법적인 권위 = 68
2) 사회ㆍ문화적 환경 = 69
4. 교육과정 참여 집단의 관점 = 71
1) 학문적 합리주의자의 관점 = 71
2) 인본주의자의 관점 = 72
3) 사회적응ㆍ재건주의자의 관점 = 73
chapter 03 교육과정 개발과 개발 모형 = 77
1.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 = 77
2. 교육과정 개발 수준 = 79
1) 국가수준 교육과정 = 81
2) 지역수준 교육과정 = 82
3) 학교수준 교육과정 = 82
3. 교육과정 개발 모형 = 84
1) 기술ㆍ절차 모형 = 85
2) 숙의 모형 = 90
3) 구성주의 모형 = 97
chapter 04 교육목적과 핵심역량 = 107
1. 교육목적의 개념 = 108
1) 교육의 목적 = 110
2) 교육의 일반적 목표 = 111
3) 교육의 구체적 목표 = 117
2. 교육목적의 설정과정 = 118
1) 설정과정 = 118
2) 설정자원 = 119
3) 설정원칙 = 120
3. 교육목적의 영역 = 126
4. 교육목적으로서의 핵심역량 = 130
5. 교육목적의 진술 = 136
1) 교육목표 이원 분류표 = 137
2) 행동적 목표 진술 = 138
3) 비행동적 목표 진술 = 139
chapter 05 교육내용과 성취기준 = 147
1. 교육내용의 의미 = 148
2. 교과, 경험, 지식, 학문 = 151
1) 교과와 경험 = 151
2) 지식과 교과 = 156
3) 학문과 교과 = 160
3. 교육내용의 선정 = 165
1) 타당성의 원리 = 165
2) 확실성의 원리 = 166
3) 중요성의 원리 = 166
4) 사회적 유용성의 원리 = 166
5) 인간다운 발달의 원리 = 166
6) 흥미의 원리 = 167
7) 학습 가능성의 원리 = 167
4. 성취기준의 의미와 진술 = 167
chapter 06 교육과정 설계와 교과 통합 = 179
1. 교육과정 설계의 기반 = 180
1) 조직구조 = 181
2) 조직요소 = 183
3) 조직중심 = 185
4) 조직원칙 = 186
5) 조직원리 = 188
2. 교과과정 설계의 유형 = 195
1) 학문/교과중심 설계 = 196
2) 사회중심 설계 = 199
3) 학습자중심 설계 = 200
4) 교육과정 설계 모형의 선택 = 202
3. 교과 통합 운영의 개념과 필요성 = 203
4. 교과 통합 운영의 전개 방안 = 205
1) 교과 통합의 과정 = 205
2) 교과 통합의 유형 = 206
3) 교과 통합의 절차 = 209
chapter 07 특별활동과 창의적 체험활동 = 219
1. 특별활동 = 220
1) 특별활동의 개념과 성격 = 220
2) 2007 개정 특별활동 교육과정 = 221
2. 재량활동 = 231
1) 재량활동의 개념과 성격 = 231
2) 2007 개정 재량활동 교육과정 = 232
3. 창의적 체험활동 = 241
1) 창의적 체험활동의 개념과 성격 = 241
2) 2009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= 242
3)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= 252
4. 특별활동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과제와 전망 = 256
chapter 08 학교수준 교육과정과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= 263
1. 학교수준 교육과정의 개념과 필요성 = 264
2. 학교수준 교육과정의 역사와 주요 특성 = 268
3. 학교수준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기본 원리 = 273
1) 타당성의 원리 = 274
2) 적법성의 원리 = 274
3) 전체성의 원리 = 274
4) 민주성의 원리 = 274
5) 전문성의 원리 = 275
6) 현실성의 원리 = 275
4. 학교수준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실제 = 275
5. 학교수준 교육과정의 수준별 편성과 운영 = 278
6. 학교수준 교육과정의 발전 과제 = 278
7. 자유학기제의 개념과 교육과정 편성 = 284
1) 자유학기제의 개념 및 교육과정으로서의 자유학기제 = 284
2) 자유학기제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= 292
3) 자유학기제의 성과 및 개선점 = 300
chapter 09 교과서의 성격, 구성 체제, 외형 체제, 제도 = 307
1. 교과서의 성격 = 308
1) 교육과정과 교과서 = 308
2) 교과서의 개념 = 311
3) 교과서의 역할 = 313
4) 교과서의 유형과 기능 = 316
2. 교과서의 체제 = 317
1) 교과서의 내용 구성 체제 = 318
2) 교과서의 외형 체제 = 321
3. 교과서 제도 = 324
1) 교과서 편찬 제도(검정기준 포함) = 324
2) 교과서 공급 제도 = 328
3) 교과서 채택 방법 = 331
4. 교과서의 발전 방향 = 333
1) 좋은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요건 = 333
2) 디지털 교과서의 전망과 한계 = 334
chapter 10 교실수준의 교육과정과 백워드 설계 = 343
1. 교사와 교육과정 = 344
2. 학습경험의 의미 = 346
3. 학습경험의 선정과 조직 = 348
1) 수업내용의 선정과 조직 = 348
2) 학습활동의 선정과 조직 = 350
4. 학습경험과 수업 모형 = 352
5. 교육과정 문서와 수업계획 = 355
1) 교육과정 문서 속의 수업계획 = 355
2) 교사용 지도서와 수업계획 = 357
6. 백워드 수업설계 모형 = 359
1) 백워드 수업설계 모형 = 359
2) 백워드 설계모형의 최신 동향 = 362
3) 백워드 설계 방식으로 단원 설계하기 = 362
chapter 11 교육과정의 역사와 2015 개정 교육과정 = 371
1. 과거의 교육과정 = 372
1) 교육에 대한 긴급조치기(1945∼1946) = 372
2) 교수요목기(1946∼1954) = 374
3) 제1차 교육과정기(1954∼1963) = 375
4) 제2차 교육과정기(1963∼1974) = 377
5) 제3차 교육과정기(1973∼1981) = 381
6) 제4차 교육과정기(1981∼1987) = 383
7) 제5차 교육과정기(1987∼1992) = 386
8) 제6차 교육과정기(1992∼1997) = 389
9) 제7차 교육과정(1997∼2007) = 392
10) 2007 개정 교육과정 = 397
2. 최근의 교육과정 = 403
1) 2009 개정 교육과정(2009∼2015) = 403
2) 2015 개정 교육과정(2015∼) = 410
chapter 12 교육과정 변화와 운영 = 423
1. 교육과정의 변화 = 423
1) 교육과정 변화의 개념 = 424
2) 변화의 단계 = 427
2. 교육과정의 운영 개념과 요인 = 428
1) 교육과정 운영의 개념과 관점 = 428
2) 교육과정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= 431
3. 교육과정 운영 전략 = 437
1) 연구-개발-보급 모형 = 437
2) 교사의 관심에 기반을 둔 수용 모형 = 438
3) 협력적 입장 = 442
4) 교사 연수의 방법 = 443
chapter 13 교육과정 평가와 질 관리 = 451
1. 교육과정 평가 = 452
1)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= 452
2)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 = 452
3) 교육과정 평가의 주체 = 454
4) 교육과정 평가의 대상과 영역 = 455
5) 교육과정 평가의 준거와 기준 = 457
6) 교육과정 평가의 절차 = 457
7) 교육과정 평가의 방법 = 458
2. 학교 교육과정의 평가 = 459
1) 학교 교육과정의 개념 = 459
2)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 = 460
3)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주체 = 461
4)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대상과 영역/준거와 기준 = 461
5)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절차 = 462
3. 국가학업성취도 평가와 성취평가제 = 466
1)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= 466
2) 성취평가제 = 466
4. 교육과정 평가의 과제 = 468
chapter 14 교육과정 연구와 이론 = 473
1. 미국에서의 교육과정 연구와 이론 = 475
1) 전통주의자 = 476
2) 개념-경험주의자 = 477
3) 재개념주의자 = 479
2. 우리나라에서의 교육과정 연구와 이론 = 489
1) 우리나라 교육과정 연구의 역사적 흐름 = 490
2) 교육과정 연구의 방법에서 본 교육과정 연구의 역사 = 492
3) 2005년 이후의 교육과정 연구 동향 = 493
3. 우리나라 교육과정 연구와 이론의 발전 과제 = 495
참고문헌 = 499
찾아보기 = 503